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매체
- 60d
- 광고학개론
- 소비자
- 커뮤니케이션
- 광고조사
- cmos00
- 브랜드
- 차가운바다
- 카메라
- ad
- frozensea
- 손자병법 활용
- communication
- 경영전략
- 손무
- Advertisement
- 손자
- Dslr
- 올포스트
- Marketing
- 광고
- research
- olpost
- 손자병법
- 리서치
- 심리학
- 마케팅
- 경영전쟁
- 대인관계
- Today
- Total
cmos00
1-1. 모바일과 UX/UI/GUI의 이해 1 본문
1. 모바일 서비스의 이해
1) 모바일 앱 종류 및 특징
(1) 네이티브 앱
- 접근성이 좋으며, 사용자의 홈 스크린에 보여지는 앱 아이콘을 선택해서 즉시 시작이 가능
- 항상 로그인 되어 있어 사용성이 좋으며, 본인에게 맞추어진 정보를 즉시 볼 수 있음
- 타 운영체제에서 사용불가하며 개발 난이도가 높은 편 (개발 시간과 비용이 높음)
- 운영체제 별로 제공하는 고유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음
- 디바이스의 다양한 센서, 기능, 프레임워크 사용가능 (지문센서, 가속도계, 자이로, 기압계 등)
(2) 웹 앱
- 웹 브라우저 앱을 통해 접속하며 별도의 주소를 입력해야 함 (접근성이 낮음)
- 다양한 해상도 대응 방식으로 제작 가능 (One Source Multi Use)
- 개발 난이도가 낮은 편 (HTML, CSS, Java Script 등의 언어로 제작 가능)
- 보안상의 이유로 하드웨어 및 시스템 접근이 제한되며 다양한 센서, 기능들 사용 불가 (일부만 가능)
(3) 하이브리드 모바일 앱
- 앱의 장점과 웹의 장점을 합친 방식으로 PhoneGap, 센차터치 등의 별도 기술을 활용하여 웹 결과물을
앱으로 패키징한 앱
- 매번 웹에서 콘텐츠 등을 불러오므로 퍼포먼스는 떨어지는 편
- 주로 콘텐츠가 인터넷 중심일 경우 사용하며, 최근에는 완성도가 높아져 네이티브 앱과 거의 구분이
안되는 편
- PhoneGap
- 니토비(Nitobi)가 만들고 어도비 시스템즈가 인수한 모바일 개발 프레임워크
- 자바스크립트, HTML5, CSS3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만들 수 있음
- 응용 프로그램 결과물들은 하이브리드 형태인데, 이는 모든 레이아웃 렌더링이 플랫폼의 네이티브
UI 프레임워크가 아닌 웹 뷰를 통해 수행되며 단지 웹앱일 뿐만 아니라 배포를 위해 패키지화되면서
네이티브 기기 API에 접근할 수 있음 (네이티브 코드와 하이브리드 코드 일부를 자유롭게 섞어서 사용가능)
* Sencha Touch
- 모바일 웹앱을 지향하여 만들어진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
- 자바스크립트 어플리케이션을 네이티브 앱으로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컴파일러제공
2) 제작 방식 별 특징 및 주의점
(1) 네이티브/웹/하이브리드 앱 제작 시 주의점
- 각 앱별로 장/단점이 있으므로 앱이 제공하는 기능 및 방식을 이해하고 개발자과 협의하에
결정하는 것이 바람직
-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방식에 네이티브 코드를 탑재해 실제 구현된 앱만을 볼 경우 차이점 식별이 어려움
- 채택한 제작 방식에 따라 구체적인 디자인/이미지 제작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
(2) 게임엔진 활용
- 유니티, 언리얼 등 게임 개발 앱은 개발 후 다양한 플랫폼으로 변환해주는 기능 제공
- 단, 게임엔진 이기에 텍스트 및 많은 양의 정보를 다루는 앱에는 부적합
2. 모바일 운영체제의 이해와 관련 사이트
1) 공통점
- 상/하단에 운영체제 특유의 바 및 주요요소 배치
-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디바이스라는 점에서 콘텐츠 및 구성이 터치 및 제스처에 최적화되어 있음
- 마켓을 통한 구매 > 아이콘 터치 > 앱 실행이라는 Flow가 동일
2) 차이점
- 안드로이드, iOS모두 플랫 디자인 스타일을 채택하였으나 컬러/타이포그래피/레이아웃/이미지 처리 등
많은 부분에서 차이 존재
- 기본 서체: 안드로이드 (Roboto), iOS (San Francisco)
- 안드로이드:
- iOS: https://developer.apple.com/ios/human-interface-guidelines/overview/design-principles/
'+ 정리하기 > 모바일 GUI 디자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컨트롤 컴포넌트 (0) | 2017.05.05 |
---|---|
4. 구조구성 컴포넌트 (0) | 2017.05.03 |
3. 컴포넌트의 이해 (0) | 2017.05.03 |
2. 모바일과 GUI 디자인 (0) | 2017.05.03 |
1-2. 모바일과 UX/UI/GUI의 이해 2 (0) | 2017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