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손자병법 활용
- 차가운바다
- 경영전략
- ad
- 리서치
- 매체
- 60d
- Advertisement
- 광고
- 소비자
- communication
- 손무
- 광고학개론
- 경영전쟁
- 카메라
- 올포스트
- frozensea
- Dslr
- 커뮤니케이션
- research
- 광고조사
- cmos00
- 브랜드
- 손자병법
- 손자
- 심리학
- 대인관계
- olpost
- 마케팅
- Marketing
- Today
- Total
cmos00
6-2. 콘텐츠 디자인 - Android 본문
2. Android 콘텐츠 디자인
1) Card
(1) 기본 구성
- 다양한 콘텐츠와 컴포넌트로 구성할 수 있는 콘텐츠 카드
|
|
- 동일 수준의 카드 형태의 콘텐츠를 모아볼 수 있으며 이러한 모음을 카드 콜렉션이라 함
(2) 비교
|
|
반드시 모서리에 라운드/그림자 효과가 있어야 하며 삭제/재배열 가능 |
각진 모서리에 그림자 효과가 없는 것은 Tile |
|
|
장식적 요소가 적어 정보 이해와 스킨이 용이 |
카트 형식을 선택해서 정보 스캔이 힘듦 |
|
|
그리드 타일을 통해 갤러리 이미지 정보 전달이 용이 |
갤러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카드 형식을 사용하지 않음 |
(3) 콘텐츠 구성
- 이미지 위에 텍스트가 있을 경우 가독성 보장
- 각 콘텐츠 별 명확한 위계
- 체크박스, 이미지, 다양한 텍스트, 액션 등이 배치 가능하며 사이즈 또한 다양
(4) 스크롤링
- 카드 콜렉션 스크롤은 상하 방향으로만 가능
(5) 레이아웃
(6) 적용 사례
- 별점 UI와 이미지 터치 영역을 포함한 디자인
-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포함된 카드 디자인
- 슬라이더UI를 포함한 카드 디자인
- 고정 Tab Bar를 포함한 카드 디자인
2) Dialogue
-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역할로 텍스트와 UI 컨트롤러 등 포함
(1) 일반 형태
(2) Full-screen
-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경우 사용
- 최종적으로 확인 버튼을 눌러야 결과 적용 (즉, 작업 취소 시 결과 반영하지 않음)
- 작업 취소 시 변경사항이 있었을 경우 이를 저장할 지 묻는 Alert로 인지 시켜야 함 (변경사항이 없을 경우 불필요)
- 자동저장구조 /수동저장구조
(3) Alert
|
|
- 구체적인 행동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는 용어를 사용
|
|
- 중요한 결정을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
(4) Simple Menu
|
|
- 리스트 아이템에 대한 옵션을 보여주는 역할 (옵션을 선택하면 결과가 즉시 반영)
(5) Simple Dialogue
- 리스트 아이템에 대한 옵션을 보여주는 역할로 Simple Menu와 기능은 동일하나
보여주는 방식이 다름 (선택 시 바로 닫히고 결과 즉시 반영)
- 바깥 영역을 터치하거나 Back버튼을 통해 닫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Close/Cancel 버튼 불필요
(6) Confirm Dialogue
- 옵션이 반영되기 전에 최종 확인을 받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
(확인을 해야 설정 내용 적용)
* Date Picker도 확인 필요
|
|
3) Grid List
|
|
- 주로 이미지 관련 콘텐츠 나열 시 활용, 이미지가 너무 크지 않도록 주의 (특정 간격으로 수평/수직 반복)
- 주요콘텐츠: 일반적으로 이미지 / 2차콘텐츠: 액션이나 텍스트
- 2차콘텐츠의 배치 위치
|
|
- 스크롤은 상/하로만 진행 되며, 하단 이미지가 잘려보이는 형태로 레이아웃 구성
(아래에 추가정보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예측할 수 있도록)
- Single Line Grid List:
|
|
1줄 텍스트 추가 |
1줄 텍스트 + 아이콘 추가 |
- 2 Line Grid List:
|
|
2줄 텍스트 추가 |
2줄 텍스트 + 아이콘 추가 |
4) Divider
- 옅고 얇은 선으로 리스트, 레이아웃, 콘텐츠, 그룹 등을 구분하는 선
(1) Full Bleed Divider
- 별개의 콘텐츠 섹션을 나누는 Divider
- 아이콘 같은 시각적 포인트를 주는 요소가 없을 경우 단순히 텍스트 간격만 가지고는 시각적
구분이 확실치 않으므로 Divider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
(2) Insert Divider
- 그룹화 된 콘텐츠를 구분하기 위한 Divider
- 그룹화의 시작지점에 위치
(3) Sub Header & Divider
|
|
5) List
- 콘텐츠 구성 배열 참고:
|
|
- 싱글 칼럼으로 구성되며, 각각 Tile 성격으로 구성
|
|
- 응용사례 참고:
|
|
|
|
|
6) Menu
|
|
- 임시 팝업 형태로 버튼, 액션 등으로 구성
- 각 메뉴는 싱글 라인 텍스트로만 구성되어야 하며, 선택 시 바로 적용
7) Bottom Sheets
- 화면 하단에서 올라오는 Sheet로, 주로 하단으로부터 끌어올려 사용가능
(1) Persistent bottom sheets
-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세부정보 노출
- 다른 페이지를 보고 있더라도 음악 정보를 표시하고 있음
(2) Modal bottom sheets
- 앱과 연계 기능이나 콘텐츠를 보여주는 역할로 활용
|
|
|
|
|
|
- 뒷 화면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Sheet를 닫고 활용 가능 (하단으로 끌거나 외부 영역을
터치해서 닫기 가능)
|
|
- 콘텐츠 높이 만큼만 올라오면 충분하며, 콘텐츠보다 더 많이 올라오는 것은 지양
- 단, 많은 수의 선택지가 주어지더라도 App Bar영역을 침범하면 안됨
'+ 정리하기 > 모바일 GUI 디자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. 컬러 (0) | 2017.05.10 |
---|---|
7. 아이콘 디자인 (0) | 2017.05.07 |
6-1. 콘텐츠 디자인 - iOS (0) | 2017.05.05 |
5. 컨트롤 컴포넌트 (0) | 2017.05.05 |
4. 구조구성 컴포넌트 (0) | 2017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