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research
- 브랜드
- 매체
- 마케팅
- 경영전쟁
- 손무
- Advertisement
- ad
- cmos00
- 차가운바다
- 리서치
- 손자병법
- Dslr
- 심리학
- 광고학개론
- 소비자
- frozensea
- 대인관계
- 60d
- 카메라
- 손자
- 손자병법 활용
- 커뮤니케이션
- 올포스트
- olpost
- communication
- 경영전략
- Marketing
- 광고
- 광고조사
- Today
- Total
cmos00
8. 컬러 본문
1.컬러의 기본개념
1) 정의
- 색은 이미지, 감정 등의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
- 문화적 환경, 트렌드, 연령, 개인적 기호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음
2) 색상 혼합 개념
(1) 가산혼합
- Red, Green, Blue의 빛 혼합 방식으로 색이 겹쳐짐에 따라 밝아짐
(2) 감산혼합
- Cyan, Magenta, Yellow, Black의 인쇄 색상 혼합 방식으로 색이 겹쳐짐에 따라 어두워짐
3) 색 속성
- 색상: 색의 고유한 특성
- 채도: 색이 선명한 정도
- 명도: 색이 밝은 정도
4) 배색
(1) 단색 계열 (Monochromatic)
- 단색 선정 후 명도를 달리하여 사용하는 배색
(2) 유사색 (Analogous)
- 선정한 하나의 주색과 그 옆에 바로 인접한 두 색
- 자연스럽고 조화로운 느낌
(3) 보색 (Complementary)
- 마주보는 위치의 색
- 강렬한 대비효과로 활기있는 배색
(4) 분리보색 (Split Complements)
- 마주보는 보색 중 한 쪽의 보색에 인접한 두 가지 색을 조합하는 배색
(5) 삼색 트라이어드 (Triad)
- 색상환에서 같은 간격에 놓인 3가지 색 조합
- 모두가 대비 되므로 긴장감을 높일 수 있음
5) 색역
- 색 체계와 디바이스에 따라 실제 재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
- 같은 컬러 체계이더라도 디바이스에 따라 표현되는 색의 범위가 다름
2.컬러의 의미와 역할
1) 감정
- 컬러는 긍정/부정의 의미를 동시에 지니며, 한 가지 색 뿐 아니라 여러 색을 조합해서 다양한 의미 표현
- 예로 붉은 색은 열정, 사랑, 분노, 위험, 공격의 의미를, 푸른색은 안정, 평온, 냉정, 우울 등의 의미를 지님
2) 국가/문화 관점
- 나라별로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으며, 각 개인마다 다른 의미를 부여하기도 함
3) 대상, 주제 관점
- 타겟이 누군지, 주제가 무엇인지에 따라 컬러 선정이 중요
4) 인지심리적 관점
- 컬러를 통해서 어떠한 감정, 의미를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하므로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와
컬러가 일관성이 있어야 함
5) 브랜드와 컬러
- 기존 브랜드가 컬러의 의미를 선점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경쟁사 컬러가 어느 컬러인지 파악하는
것이 중요
6) UI 관점
- GUI에서의 컬러는 특정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에 사용자가 교육된 방향에 맞춰서 제작 (긍/부정 분류)
-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컬러로 위계를 표현
- 같은 구매버튼이라도 제품/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표현할 수 있음
- 사용 예시
색상 |
예시 |
Red |
심박수를 높여 빨리 구매 자극 / 재고 정리 판매 등에 적합 |
Green |
심하고 눌러도 되는 느낌 |
Black |
럭셔리 제품의 구매 버튼에 종종 쓰이는 컬러 |
Violet |
마음을 달래고 안정감을 전해주기 때문에 주로 뷰티 제품이나 안티 에이징 구매 버튼에 많이 쓰이는 컬러 |
* 배색 제안 기능 참고: color.adobe.com
3. 아이폰과 컬러
1)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컬러
- 단순하게 색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컬러를 통해 Interaction의 정보와 시각적 일관성에 대한 정보 전달
- Interaction에 적용한 컬러는 Interaction이 없는 곳에 적용하면 안됨
- 일반적으로 메인컬러는 1개를 선택하여 UI에 일관적으로 적용
2) iOS 컬러 팔레트
4. 안드로이드와 컬러
1) Material Design
(1) 3대 요소
- 디지털 페이퍼, 컬러위계, 모션 & 인터랙션
(2) 컬러
- 프린트 디자인의 개념을 적극 수용하여 컬러, 이미지, 레이아웃 등의 개념을 모바일에 구현하여
특징적인 디자인을 구현하는 개념
- 대담한 컬러 배색과 하이라이트 컬러 사용
2) Android 컬러 팔레트
- https://www.google.com/design/spec/style/color.html
- 메인컬러 (500)로 1개 선택 후 2개 서브컬러 (700, 800) 선정, 엑센트 (A로 시작) 컬러로
대비되는 컬러 선정
- 엑센트 컬러는 Floating Action Button, Slider, Switch, Indicator, Link 등 Interaction이 필요한
부분 및 관련 부분에 사용
5. 포지셔닝 맵을 활용한 분석 예시
'+ 정리하기 > 모바일 GUI 디자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. 레이아웃 (0) | 2017.05.10 |
---|---|
9. 타이포그래피 (0) | 2017.05.10 |
7. 아이콘 디자인 (0) | 2017.05.07 |
6-2. 콘텐츠 디자인 - Android (0) | 2017.05.07 |
6-1. 콘텐츠 디자인 - iOS (0) | 2017.05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