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olpost
- 매체
- 손자병법
- 경영전쟁
- ad
- 광고학개론
- 대인관계
- 소비자
- 카메라
- cmos00
- 손무
- 브랜드
- 올포스트
- 광고
- 리서치
- 커뮤니케이션
- 60d
- 경영전략
- 마케팅
- Dslr
- communication
- 광고조사
- Advertisement
- 차가운바다
- 손자
- research
- 손자병법 활용
- 심리학
- Marketing
- frozensea
- Today
- Total
cmos00
3장 | 브랜드 포지셔닝 본문
1. 전통적 브랜드 포지셔닝
1) 타깃시장 정의 – 타깃 시장의 동기를 정확히 묘사할 수 있어야 함
(ex. 식품브랜드의 경우 ‘자녀가 있는 엄마들’ 이 아닌 ‘까다로운 엄마들’, ‘건강을 의식하는 엄마들’)
2) 준거기준 – 시장 점유율을 얻기 위해 누구를 상대로 경쟁해야 하는지 정의
시장의 취약성이 어디에 있는지 정의 -> 소비자적 관점에서 점검
3) 소비자 편익 – 의도적인 소비자가 ‘취한 것’ 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확한 정의
이 편익은 독특한 포지셔닝에서 다른 브랜드가 대체할 수 없게 정의 (차별점)
4) 브랜드 개성 – 브랜드 개성을 확장하여 브랜드 특징에 포함하거나 브랜드
자산적 요소를 포함하여 브랜드를 독특하게 만드는 특성을 통합
2. 경쟁적 브랜드 포지셔닝 매트릭스
- 브랜드 개성 매트릭스를 통해 항목들의 상호관계를 평가하고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포지셔닝이 어떤 것인지 판단
- 어떤 행위가 브랜드 편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결정
- 특정 목표 집단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경쟁자를 물리치려 할 때 매우 유용한 전략
(ex. 프랑스식 아메리칸 스파게티 – 어린이 지향적 타겟, 셰프 보이야르디 – 건장한 아이들을 지향하는 전략 사용)
* 브랜드 포지셔닝 매트릭스
브랜드/제품 |
목표정의 (인구통계 학적 방식) |
타깃시장 (니즈 상태를 포함) |
경쟁적 세트 |
편익 |
근거/이유 |
브랜드 개성 |
자사 브랜드 |
||||||
경쟁1 |
||||||
경쟁2 |
||||||
경쟁3 |
3. 개념적 공간의 구축
1) 개념적 공간을 정의하기 위한 기본적 질문
(1) 소비자는 이 공간에서 무엇을 원하는가?
(2) 어떤 기업이 이 소비자의 요구에 강하게 결부되어 있는가?
(3) 현재는 강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이러한 욕구에 의한 공간이 있는가?
(4) 확실하고 믿을 만한 방법으로 이 공간을 점유할 수 있는가?
(5) 경쟁자 중에 누가 강력하고 차별적인 마케팅 프로그램을 갖고 있는가?
(6) 어떤 개성적 속성이 소비자에게 가장 강력한가?
(7) 자사의 개성이 소비자와 경쟁자에 어떻게 적용하는가?
2) 개념정의의 예시
(1) 휴스턴 식품업체 ‘랜달’
- 개념적 공간을 정의할 때 대부분의 식품 기업 특징이 로터치 (low touch)로 이성적인 소구 상한에 속한 것을 발견
- 비즈니스 측면과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감성적으로 서비스 시장을 공략
- 즉, 서비스를 배려하는 개념적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견고한 틈새시장 구축에 성공
(2) 인텔
- 개념화 공간 구축은 거부하기 어려운 소비자 편익과 개성을 개발하는데 기여
- 범주가 더 협소해지고 소비자 편익이나 입장과 더욱 유사해질수록 독특하고 차별적인 개성 개발에 성공
4. 자사 비즈니스 정의하기
- 근시안적으로 자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로 인해 소비자가
받는 가치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.
(ex. 웨이스트 매니지먼트 – 단순한 쓰레기 수거 및 재활용 기업이 아닌 “혁신적인 활동들로 인해 소비자의
일상생활을 돕고 혁신적 재활용으로 전 세계를 배려한다”는 것을 비즈니스로 정의)
5. 개념 테스트하기
- 자사 포지셔닝이 정말 강한지 테스트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념 테스트 사용 도브는 비누 브랜드로서 다른 비누에
비해서 수분 함유 효소가 두 배이기 때문에 얼굴이 신선한 느낌을 갖게 한다.
1. 도브는 다른 비누에 비하여 수분 함유 효소가 두 배이기 때문에 얼굴에 자신감을 준다.
2. 도브의 특별한 수분 함유 효소는 당신을 가장 멋있게 보이게 할 수 있다.
3. 몸을 돌봅시다. 도브가 특별한 수분 함유 효소로 당신의 얼굴을 돌봅니다.
'+ 정리하기 > 광고기획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장 | 촉진믹스 (0) | 2011.07.04 |
---|---|
5장 | 광고기획 (0) | 2011.06.22 |
4장 | 광고와 커뮤니케이션 (0) | 2011.06.21 |
2장 | 소비자 이해하기 (0) | 2011.05.08 |
1장 | 광고의 이해 (0) | 2011.05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