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경영전략
- 대인관계
- cmos00
- ad
- communication
- 광고조사
- 손자
- Dslr
- 카메라
- 커뮤니케이션
- 경영전쟁
- 60d
- 손자병법
- 차가운바다
- 마케팅
- Marketing
- 소비자
- Advertisement
- 광고학개론
- 심리학
- 리서치
- 광고
- frozensea
- 매체
- 올포스트
- 손무
- 브랜드
- olpost
- 손자병법 활용
- research
- Today
- Total
cmos00
1. 기획과 사고력 본문
기획의 결론은 신선하고 강해야 한다. (임팩트)
도출한 이유가 사리에 맞고 조리있어야 한다. (논리력)
1. 기획의 정의
- 목적 달성을 위한 것
- 왜 이 일을 해야 하는 가? 이 일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결과물은 무엇인가? 먼저 생각하는 것이 중요
- Concept: 많은 실행방안을 한 마디로 요약한 것
2. 기획의 필요성
1) 효과
- Do the right thing: 올바른 일을 하는 것
- 기획활동을 통해 처음 정의한 목적, 목표에 도달
- 기획이 없을 경우 목적과 관련없는 일을 할 가능성이 높음
2) 효율
- Do the thing right: 일을 올바르게 하는 것
- 시간, 자원,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선정하여 진행
3) 학습
- 행동하기 전에 생각을 통해 어떻게 행동할 지 정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것을 학습하고
- 기획의 진행 과정, 결과를 통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음
* 즉, 기획은 목적, 목표를 최소한의 시간, 자원, 비용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
3. 기획의 계획
- 기획의 최종 결과물은 계획
- 모은 계획은 쓸모 없지만, 기획은 불가피하다.
(오차없이 계획대로 진행되는 일은 없고 계획은 바뀔 수 있기에 쓸모 없을 수 있지만, 기획은 계획대로
진행될 수 없는 이유를 알 수 있고 기획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 수정을 위해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
도와주기에 기획은 불가피 하다.)
4. 기획의 종류
1) 기획 Level별 분류
- 전략기획: 전사적 레벨, 회사 전략 도출
- 부문기획: 사업부, 팀 단위 레벨
- 업무기획: 개인 단위 레벨
* 전략기획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각 부서별 역할을 기획, 목표 구체화를 하고 이를 이루기 위한 개개인의 역할
분담안이 업무 기획이 된다.
2) 과제 성격별
- 원인 분석형 기획
- 창조 기획형
3) 사용 목적별
- 사업기획, 판촉 기획 등
*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획 프로세스, 결과물이 다르기에 기획의 종류를 기획전 이해하고
진행하는 것이 중요
5. 기획 프로세스
1) Perceiving: 과제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
- 세부적인 프로세스, 중간/최종 산출물 이미지를 명확하게 정의
- 정확한 과제의 인지는 기획의 절반 이상을 차지
2) Listing: 기획에 필요한 정보수집과 분석
- 관찰, 문헌조사, 인터뷰, 설문조사, 실험 등
- 어떤 항목을 어떤 방법으로 수집할 지 결정 후 실행
3) Action planning: 실행계획 수립
- 분석한 내용에 대한 시서점을 도출 -> 발향 설정 -> 실행방안 도출
- 구체적인 계획 수립: 순서, 언제, 누가할 것인지?
4) Notifying: 결과 공지
- 기획서 작성 -> 보고 -> 승인 -> 공지
- 기획서로 대체, 별도 설명회 개최
6. 4 사고력
1) 논리력
- 구체적 사실에서 결론 도출
- 대전제를 통해 구체적 사실 도출
- 논리력이 부족할 경우 주장의 근거가 약하고, 설득력이 떨어짐
2) 창의력
- 새롭고 가치가 있는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으로 새로움과 가치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함
- 창의력이 부족할 경우 누구나 아는 결론을 도출하고, 신선함이 떨어짐
3) 분석력
- 객관적이고 수치화된 정보를 얻고 해석하는 능력
- 전체적 그림보다는 세부사항 (숲보다는 나무)를 보는 능력
- 분석력이 부족할 경우 현실감이 부족하고 세부적인 마무리와 실행력이 부족
4) 종합력
- 해석한 결과를 활용하여 통찰력 있는 결론을 이끌어 내는 능력
- 전체적인 그림을 보고 이해하는 능력
- 종합력이 부족할 경우 정보 간 상호 관계가 결핍되고, 잘못된 결론을 도출할 가능성이 높음
* 모든 기획은 4가지 사고력을 모두 요구하며, 기획의 종류 별로 더 중요한 요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
<정리>
- 객관적 자료 (요리재료)가 많다고 해서 결과물 (요리)가 좋은 것은 아니다
- 주관적 의견이 배제된 기획은 맛없는 음식과 같다
'+ 정리하기 > 기획안 작성을 위한 사고력 향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Logic Tree (0) | 2017.05.10 |
---|---|
5. Pattern 사고 (0) | 2017.05.10 |
4. Matrix 사고 (0) | 2017.05.10 |
3. Framework 사고 (0) | 2017.05.10 |
2. MECE (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) (0) | 2017.05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