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소비자
- research
- 손자병법 활용
- Marketing
- 손자
- 마케팅
- olpost
- 손자병법
- 광고학개론
- communication
- frozensea
- 리서치
- 광고조사
- 차가운바다
- cmos00
- Advertisement
- 경영전쟁
- Dslr
- 커뮤니케이션
- ad
- 손무
- 심리학
- 대인관계
- 광고
- 브랜드
- 경영전략
- 올포스트
- 60d
- 매체
- 카메라
- Today
- Total
cmos00
제 1 장 | 과학과 과학적 연구란 무엇인가? 본문
1. 과학의 의미
- 과학 (Science)
- Latin어: Scientia에서 유래 (=knowledge)
- System of knowledge
- 세상을 설명해주는 지식체계
2. 과학의 목표
1) 현상의 이해
- 특정한 사회현상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지 정확하고 정밀하게 이해
ex) 인구조사
2) 현상의 서명
- 사회현상간의 관계에 대한 일반화 가능한 설명을 제공
ex) 팔, 다리저럼 = 비가 올 것이다.
- 하나의 현상을 통제하면 다른 현상의 수준예측 가능
* 지식 (knowledge)의 생산 + 세상(자연적, 사회적 현상 및 현상들 간의 관계)을 이해하고 설명
* 이론 (Theory): 현상(혹은 현상 간의 관계)에 대한 체계적 설명
* 가설 (Hypothesis): 개념들 간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이고, 검증 가능한 기대
3. 과학의 특징
1) 검증가능성
- 과학과 다른 유형의 지식체계와의 차이를 설명
ex) 도덕, 신화
- 검증 가능성의 전제는 현상에 대한 엄격한 정의 필요: 특수용어 (개념) 필요
- 이론: 개념들을 사용한 사회현상 간의 관계 설명
- 개념: 어떠한 현상의 일반적 특징
2) 측정
-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, 사상과 연결하는 과정
- 과학적 지식 창출의 핵심
3) 과학의 대상
- 과학 = 현실, 이념 = 당위성
4. 과학의 이상과 현실
1) 과학의 이상: 완전한 이론의 세계
2) 과학의 현실: 불완전한 이론과 가설의 세계
5. 과정으로써의 과학
- 과학은 지식산출의 과정
- 과학의 과정에는 경험의 세계와 추상의 세계가 공존
* 과학적과정 (Scientific Process)
1) 이론을 바탕으로 개념화 (개념+개념 = 명제, 명제 + 명제 = 이론)
2) 예측 (가설): 연역적
3) 관찰
4) 경험적 일반화: 이후 이론을 검증하거나 새로운 이론을 도출, 귀납적
6. 지식획득의 방법
- 과학의 양대 지주는 논리 (논리적 예측)와 관찰 (경험적 검증)
1) 비 과학적 방법
(1) 전통에 의한 방법
- 역사가 오래된 '지식'을 수용 혹은 합의
- 전통에 의한 지식도 유용할 수 있음
(2) 권위에 의한 방법
- 권위를 가진 인물, 기관 등에게 지식획득
(3) 직관에 의한 방법
- '이성'과 일치할 수 있으나, '경험'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지식
2) 과학적 방법
- 논리적으로 유추한 현상간의 관계가 경험적으로 관찰된 사실과 일치할 때 (과학적)지식으로 인정
(1) 논리적 추론 (Logical Reasoning)
① 연역적 추론
- 보편적인 것으로부터 특수한 것을 추론
- "전체에 대하여 '참'인 것은 부분에 대해서도 '참'이다!"
② 귀납적 추론
- 특정한 것의 관찰로부터 보편적인 것을 추론
->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을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
(2) 경험주의
- 지식의 산출을 감각기관을 통한 우리의 경험에 직, 간접적으로 의존하는 방식
- 일반적인 감각기관 혹은 지적 수준을 가진 사람에 의해 감각될 수 있는 자료, 정보 만이 과학의 세계에서 인정
7. 과학적 연구방법론의 필요성
1) 이론과 현실
- 이론이란 실제를 설명하는 과학적 지식
2)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의 중요성
- 연구방법론: 과학적 지식을 창출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
- 사회과학 연구방법론: 사회 현상 간의 관게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소비, 생산하는 방법
- 개인, 조직의 각종 의사결정, 행동에 많은 도움
8. 과학적 연구의 과정
- 과학적 연구방법론의 핵심은 '현상에 대한 설명을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?' 임
1) 연구문제의 정의단계
ex) 왜 기업들은 큰 비용을 지불하며 유명인물을 이용한 광고를 할까?
2) 연구 문제에 대한 논리적이지만 감정적인 해답을 제시
ex) 논리적 해답: X는 Y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.
감정적 해답: X와 Y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존재하는 지 미확인
(X: 유명인을 이용한 광고, Y: 광고의 판매효과)
3) 논리적 해답에 대한 경험적 검증
(1) 연구문제 정의 → 연구문제에 대한 논리적 해답 제시 → 논리적 해답에 대한 경험적 검증
(2) 연구문제 정의 → 연구가설설정 (근거가 될 수 있는 내용을 찾음) → 연구설계 → 측정방법결정 (연구방법) →
자료수집 → 수집자료분석 (통계) → 연구결과 일반화
4) 연구과정
(1) 연구문제 (과제) 정의: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?
① 현상에 대한 호기심, 관심 혹은 흥미에서 시작
② 현실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시작
③ 기존 지식에 대한 연구자의 불만, 의구심 등에서 시작
(2) 가설설정: 연구문제에 대한 잠정적 해답ㅈ시
- 연구문제를 경험적인 조사가 가능한 형태로 논리적으로 정의
- 연구문제에 대한 감정적인 해답
① 연구가설: 000 할 것이다.
② 연구문제: 000 할까?
(3) 연구설계: 연구문제에 대한 과학적 해답을 얻기 위한 연구계획 수립
- 과학적 연구과정의 주요부분에 대한 계획
-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도록 짜여진 '연구의 계획 및 구조'
- 어떠한 대상/현상들을 어떻게 관찰하고, 관찰결과를 어떻게 분석할 지 계획
(4) 측정방법 선택: 연구현상의 경험적 관찰방법 선택
- 연구문제 (자연/사회현상)를 엄격하게 '언어로' 정의
- 언어적 개념을 '구체적인 사물, 사상'과 연결
(5) 자료수집: 연구현상의 관찰
- 연구대상 현상을 구체적으로 관찰하는 단계
- 연구대상 현상에 대한 실제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
(6) 자료분석: 관찰된 결과의 분석
① 계량적 자료분석: 각종 통계 분석기법의 핵심적 역할
- 기술 분석: 수치화를 통한 정의를 분석 (?)
- 상호관계 분석: ex) 광고의 매출과의 관계
- 인과 분석: 실험을 통해 인과관계를 설명
② 질적 자료의 분석: 질적 자료분석과 계량적 자료분석 간 회색지대 존재
- 내용분석: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을 객관적/수량적으로 분류, 일정한 기준에 입각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조사방법
ex) 빈도, 카이스퀘어
- 사례분석: 벤치마킹
(7) 연구결과 일반화
- 논리에 입각해 선정된 연구가설이 경험과 일치하는 경우 연구를 통해 확인된 지식을 기존의 이론체계에 추가
- 하나의 연구를 통한 일반화는 잠정적인 것
- 하나의 연구과정에서의 일반화는 또 다른 연구문제의 출발점
- 결국 연구과정은 순환적
(8) 과학적 연구과정에서의 이론의 역할
① 이론의 역할
- 기존 이론은 과학적 연구과정 전체에 영향
- 과학적 연구과정이 반복되면서 이론, 즉 과학적 지식의 폭과 깊이가 확장
② 이론의 발견과 이론의 정당화 과정
- 이론의 발견과정: 연구문제 정의 및 가설섥정 단계
- 이론의 정당화 과정; 연구설계 이하 일반화까지의 가정
- 과학적 이론은 정당화된 주장
*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(Social Research methods)
- 사회과학 현상을 설명하는 지식을 찾아내는 과학적 방법론
- 절차와 규칙으로 구성
ex) 샘플링, 설문조사과정 설정
* 표본조사: 표본선택, 표본크기, 표본 구성원 접촉방법 등
ex) 설문조사
* 개념: 어떠한 현상이 지닌 일반적 특징
* 측정: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, 사상과 연결하는 과정, 과학적 지식의 특징인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단계
* 이론: 현상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, 논리와 관찰의 일치에 기초한 현상간의 관게에 대한 정당화된 주장
* 연구가설: 현상 간의 관계에 대한 추측성 문장, 이론 및 논리적 추론에 기초해서 현상간의 관계를 추측하는 문장
'+ 정리하기 > 광고조사방법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 6 장 | 실험 (0) | 2012.11.02 |
---|---|
제 5 장 | 자료의 수집 (0) | 2012.10.30 |
제 4 장 | 측정과 척도구성 (0) | 2012.10.25 |
제 3 장 | 연구설계 (0) | 2012.08.10 |
제 2 장 | 연구의 대상: 연구문제와 가설 (0) | 2012.08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