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리서치
- 차가운바다
- 60d
- Marketing
- Advertisement
- research
- communication
- ad
- 커뮤니케이션
- 광고
- 심리학
- 브랜드
- 경영전략
- 카메라
- 손자
- 광고조사
- 광고학개론
- 손무
- 소비자
- 마케팅
- 대인관계
- 올포스트
- 손자병법
- 경영전쟁
- olpost
- 손자병법 활용
- cmos00
- 매체
- frozensea
- Dslr
- Today
- Total
cmos00
10. 창의적 사고 본문
- 창조의 시대는 모든 것에 가능성을 열고, 특정분야를 얕더라도 넓게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며 비약없는
논리적 인과관계보다는 도발적인 점프가 중요
- 기획이란 새롭고 가치있는 대안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 어느 정도의 지식이 필요
- 너무 많은 지식은 선입견, 편견이 되어 창의적 사고를 방해할 수 있으나 지식이 없으면 가치있는 대안
도출이 힘듦
1. 발산사고와 수렴사고
1) 발산사고 (수평적 사고: 얕더라도 넓게 사고)
- 문제의 대안을 창출하는 사고
- 다수의 답이 존재할 수 있다는 믿음
- 우뇌를 활용한 창의적은 접근 필요
2) 수렴사고 (수직적 사고: 좁더라도 깊게 사고)
- 적합한 대안을 선택하는 사고
- 문제에 가장 적합한 하나, 혹은 소수의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
- 좌뇌를 활용한 논리적/분석적 접근 필요
2. 창의적 사고를 방해하는 요소
1) 인식의 장벽: 선입견, 편견, 지식의 결핍/과잉 등 문제를 잘못 알아차리거나 엉뚱한 아이디어 도출
2) 문화의 장벽: 사회나 회사, 조직 내 일정한 기존에 동화하도록 강요 받기에 다르게 생각하기를 멈춤
3) 감정의 장벽: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지나친 완결주의를 추구하여 넓은 사고를 하지 못함
3. 창의적 인재의 특징
1) 유창성: 많은 대안 생성
2) 융통성: 상이한 종류의 대안 생성
3) 독창성: 독특한 대안 생성
4) 정교성: 대안에 세부 내용은 더 풍부하고, 완전하고 더 재미있게 만드는 능력이며 도출된 대안에 살을 붙이는
작업을 잘함
4. 브레인스토밍의 4가지 원칙
1) 비판금지
- 비판하는 본인이 틀렸을 수 있으며, 비판받는 상대는 감정의 장벽으로 인해 완결주의 추구, 수직적 사고를 하는
등 융통성이 떨어질 수 있음
2) 아이디어 편승
- 검증은 추후하고 일단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추가하는 과정을 통해 생각을 넓히고
융통성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
3) 양의 추구
- 모든 아이디어는 초반에는 미숙하기에 유창성을 유지하기 위해 질보다는 양을 추구
4) 자유로운 분위기 유지
- 경직된 분위기는 문화의 장벽을 만들 수 있기에 지양
5. 브레인스토밍 방식
1) Free Wheeling
- 아무나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이야기
- 모든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활용
2) Round Robin
- 아이디어를 전혀 내지 않는 사람들은 문화의 장벽이나 감정의 장벽이 강한 사람들일 수 있기에 순번을 정해서
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방식
3) Slip Method
- 말하는 대신 종이를 돌려가면서 아이디어를 적는 방식
- 돌아갈 때마다 아이디어의 목표 개수를 정해 놓는다면 독특한 아이디어 수집 가능
6. 브레인스토밍 절차
1) Set-up
- 목적 및 토론 주제를 선정 및 일정 계획 수립
- 사전학습 과제를 부여
- 참여자 및 리더 선정 (적절 인원: 5~15명)
2) Introduction
- 목적, 토론규칙, 절차 등을 설명
- 서기 선정
3) Warm-up
- 5~10분간 자유스러운 분위기 조성을 위한 대화 및 아이디어 교환
- 가볍고 좀 우스운 연습문제를 풀어볼 수도 있음
4) Ideation
- 5분 브레인스토밍, 2분 휴식
-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가 도출되도록 유도
- 한 주제로 30분 이상을 진행하지 않는 것이 좋음
7. 기타 연산도구
- 기존 브레인스토밍의 4가지 원칙이 잘 지켜지기 어렵기에 이를 극복하고자 여러가지 사고 도구 개발
1) 고든법
- 문제를 추상화시켜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기법
ex) 스마트폰에 대한 개선 아이디어 도출을 전자기기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먼저 도출한 후
이를 스마트폰에 적용
- 인식의 경계를 허물기 쉽게 만드는 것
- 브레인스토밍보다는 조금 더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나올 가능성이 높음
2) 마인드맵
- 이미지와 언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브레인 스토밍 (보다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나올 가능성 높음)
3) 강제연산법
- 도발할 수 밖에 없도록 강제하는 기법 (아이디어 도출 개수를 강제로 정해놓았기에
도발적으로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음)
4) 유추법
- 직유, 은유, 의인화를 통해 인식의 경계를 허물어 버림
5) 형태분석법
- 형태를 먼저 분석한 후, 각 형태별로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이를 결합하는 방법
ex) 스마트폰 개선 아이디어를 형태 분석(기구부, 회로부로 구분)으로 시작, 기구부를 다시 액정, 본체, 배터리로
구분하여 각 사항에 대한 개선 아이디어 도출
- 작은 문제들에 대해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때문에 쉽고 빠르게 아이디어 도출 가능
- 아이디어의 혁신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
6) 속성열거법
- 속성을 먼저 열거한 후 각 속성별 아이디어 도출하여 결합
8. 도구 선정 방법
-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의 차이가 높을 경우 혁신성이 높은 기법을, 반대의 경우 낮은 기법을 선정
(혁신성이 높을수록 실패가능성이 높기 때문)
9. 자주 사용되는 도구와 사용방법
1) 마인드맵
- 커다란 종이와 색상 별 펜을 준비
- 주제를 한 가운데 기입
- 주제와 관련된 단어를 주변에 기입 (떠오르는 것이나 주제를 분해할 때 나오는 요소)
- 중심주제와 하위주제를 선으로 연결 (가능하면 선과 그림 모두 활용)
- 하위 주제를 더욱 확장시켜 선으로 연결 (더이상 떠오르지 않을 때까지)
2) Scamper
- Subscribe: 기존의 것을 다른 것으로 대체해 보라
- Combine: A와 B를 합쳐 보라
- Adapt: 다른 데 적용해 보라
- Magnify, Minify, Modify: 변경, 축소, 확대해 보라
- Put to other uses: 다른 용도로 써 보라
- Eliminate: 제거해 보라
- Reverse, Replace: 거꾸로 또는 재배치해 보라
3) 연꽃기법
- 3X3의 매트릭스 9개 준비
- 매트릭스 중앙 셀에 주제 기입
- 아이디어를 좌상단 셀부터 시계방향으로 기입
- 캡쳐 참고
4) 강제결합법
- 사전, 책, 인터넷 페이지 등을 활용하여 선택한 단어를 주제와 강제로 결합시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법
ex) 의자 개선 방안 + 스케이트 =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개선, 빠른 회전 기능 개선
의자 개선 방안 + 바퀴벌레 = ?
5) 시네틱스
- 서로 관련이 없는 요소들간의 결합을 의미
- 서로 다른 성질이나 관련 없는 두 요소를 비교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법
- 여러 유추로부터 아이디어나 힌트를 얻는 방법
- 직접 유추: 개선하려는 대상과 다른 한 대상을 선택하여 두 대상을 직접 비교시켜 검토하는 것
- 의인 유추: 본인이 직접 개선하려는 대상이 되어 아이디어를 도출
(본인이 의자가 되었을 때 어떤 불편함이 있을 지 생각해 봄)
- 상징유추: 두 대상물 간의 관계를 기술하는 과정에서 상징을 활용하는 것
- 환상유추: 현실에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꿈 같은 공상과 현실을 결합시켜 실질적 아이디어로 승화
'+ 정리하기 > 기획안 작성을 위한 사고력 향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. 사업기획서 작성 개요 (0) | 2017.05.10 |
---|---|
9. 피라미드 구조 (0) | 2017.05.10 |
8. 사실중심 사고 (0) | 2017.05.10 |
7. 가설지향 사고 (0) | 2017.05.10 |
6. Logic Tree (0) | 2017.05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