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olpost
- 마케팅
- 경영전쟁
- 광고
- 광고학개론
- 올포스트
- 차가운바다
- Dslr
- research
- Marketing
- 손자병법
- 소비자
- 광고조사
- 리서치
- communication
- 매체
- 심리학
- 브랜드
- 손무
- ad
- frozensea
- 카메라
- cmos00
- Advertisement
- 대인관계
- 손자병법 활용
- 커뮤니케이션
- 경영전략
- 손자
- 60d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2031)
cmos00
3. 모바일 구성 요소와 디자인 프로세스 1) 모바일 디자인 및 기획 시 고려사항 (1) 프로젝트 목표 - 매출 목표 외에도 (다운로드 수, 긍정적 리뷰 수 등)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- 기술/비용/법적 이슈 등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이해 -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구성원들이 목표로하는 핵심가치의 형태가 다를 수 있기에 이를 구체화하고 충분히 내용을 공유하여 같은 가치 개발을 위한 명확한 방향성 제시 (2) UX/UI/GUI - 모바일 서비스는 디지털 제품이며, 아날로그 제품과 달리 제품의 사용자/조작방식 등 구체화 - UX: 사용자가 제품/서비스를 사용하는 부분에 있어 만족할 수 있는 가치를 연구/기획/구성하는 단계, 사용자 뿐 아니라 비즈니스 및 기술적인 부분도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 - UI: 사..
1. 모바일 서비스의 이해 1) 모바일 앱 종류 및 특징 (1) 네이티브 앱 - 접근성이 좋으며, 사용자의 홈 스크린에 보여지는 앱 아이콘을 선택해서 즉시 시작이 가능 - 항상 로그인 되어 있어 사용성이 좋으며, 본인에게 맞추어진 정보를 즉시 볼 수 있음 - 타 운영체제에서 사용불가하며 개발 난이도가 높은 편 (개발 시간과 비용이 높음) - 운영체제 별로 제공하는 고유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음 - 디바이스의 다양한 센서, 기능, 프레임워크 사용가능 (지문센서, 가속도계, 자이로, 기압계 등) (2) 웹 앱 - 웹 브라우저 앱을 통해 접속하며 별도의 주소를 입력해야 함 (접근성이 낮음) - 다양한 해상도 대응 방식으로 제작 가능 (One Source Multi Use) - 개발 난이도가 낮은 편 (..
1. 접근성과 항해성 관련 UI 패턴 -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기능 및 이벤트/컨텐츠의 방위(orientation)와 경로(path)의 인지와 탐색을 위한 UI 패턴 1) Side Menu(drawer) 메뉴(이벤트) 호출/컨텍스트 유지 - 여러 가지 기능을 화면 내 배치하지 않고, 좌우 Side Menu로 숨겨진 공간에 배치하여 화면 내 구성요소 단순화 - 장점: 화면 내 공간 효율성, 각 기능 간 context 분리가 명확 - 단점: 다른 기능 수행 시 현재 화면 유지가 어려움 2) Action Bar(Android) 접근성 향상 - 전체 페이지 내 공통된 2~3개의 기능을 항상 제공하면서 접근이 자주 있는 기능의 배치 - 장점: 모든 페이지에서 일관되게 제공되는 형태를 통해..
1. 스토리보드(Storyboard)의 이해 - Storyboard란, UX구현에 수반되는 사용자와 목표, 인터페이스 간 상호작용을 시각화하여, 개발자/디자이너와의 의사소통을 돕는 도구이자, 완성해야 할 앱서비스와 예상되는 사용자경험을 미리 보기 위한 방법론 2. UI 스토리보드의 목적 - 모바일앱에 필요한 기능 조각들 간 관계의 설계 - 앱 설계에 필요한 조각들을 모아서 순서대로 놓고, 배치해보고, 쌓아서 조립하는 과정 - 실제 개발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발견하고 대처하기 위한 과정 - 사용자 시나리오를 시각화하면서 평가하는 과정 - 사용자 Task에 따른 세부적인 기능들 간의 흐름과 관계망을 파악 - 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피드백을 받으면 스토리보드를 재정비 3. UX 스토리보드의 구..
1. UX 기획과 전략의 기본 지식 - UX Design은 실제 사용자의 Context와 Needs를 읽고, 그것을 제품/서비스로 만들어내는 방법론 - UX의 핵심은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할까 고민하는 가치중심적 사고를 기반으로 제품서비스를 디자인/설계 2. UX목표 - UX는 보기 좋은 시각물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,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게 목표 - 양질의 사용자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 -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은 특정한 Context에서 사용자들이 인지적/감성적/행위적 특성을 발견하는 일 - UX의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의 Needs의 도출과 욕구충족 3. UX 기획의 기본 요소 1) 사용자 맥락 (User Context) - 사용자의 제품서비스의..
1. 사용자 모델링(user modeling) 정의 - 사용자 모델링은 실제 시스템 개발에 부합하는 사용자 모형(Model)을 제작하여, 특성을 시스템의 개발 목적에 따라 ‘사용자의 행동을 체계적으로 파악해 나가는 과정’ - 사용자 분석과 사용자 모델링의 관계: 사용자 분석이 사용자의 Needs를 전반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라면, 사용자 모델링은 그 추려진 분석 내용을 시스템에 구현하고 구체화시키는 과정 2. 사용자 모형(model) 구분 1) 인지적 모형 (cognitive model) - 사용자가 어떻게 시스템을 이해하고, 사용 과정을 어떻게 배우고,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와 관련된 모형 2) 역할 모형 (user role model) -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 역할관계에 초점 (욕구, 필요, 기대..
1. 사용자(User) 정의 - 사용자(user)는 어떤 목표와 의도를 가지고 특정 컴퓨터나 시스템(모바일 기기) 등을 사용하며 능동적이고 가변적인 욕구를 가지는 주체 - 사용자는 어떤 욕구의 소유자인가? (인간의 본질적 욕구 측면) ex) 개인 프라이버시에 민감하며, 사회적 소속감을 중시 - 사용자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? (기능적 측면) ex) 자신의 개인정보를 친한 지인과만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자신만의 공개 기능 2. 사용자의 종류 1) 주 사용자 (primary users) - 사용자분석의 주요 대상이 되는 사용자 그룹을 말하며,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이나 컴퓨터를 통해 스스로 정보처리를 하거나 기능을 이용하는 사람 2) 부사용자(secondary users) - 실제로..
1. UX 시나리오란? - 구체적인 미래 시점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겪을 경험을 예상해보는 도구 2. UX 시나리오의 목적과 활용 - 미래의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고 필요로 하는지와 제품서비스가 추구하는 사용자 가치에 대한 통찰력 - UX 시나리오의 목표와 범위 내에서 사용자(고객)의 환경과 현상, 그리고 그들이 처한 문제점에 대한 진단 및 해결 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 이면에 숨겨진 사용자 경험가치의 본질을 찾아가는 과정 - 사용자 경험의 속성과 흐름을 파악 - 미래의 불명확한 사용 상황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한 도구 - 미래의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고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제품서비스 검증의 단계 - UX시나리오는 구체적인 사용자와 컨텍스트를 정의하고, 사용자 행위 중심의 목표 및 기능을 정..
1. 사용자 이해 단계 - 사용자의 행동과 태도를 분석하고, 그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 - FGI, 필드리서치를 통한 사용자 조사 실시 2. 인터랙션 정의 단계 - 사용자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프로필을 만들고 정보 구조와 작업 구조를 정의 -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전반적인 인터랙션 구조를 파악 3. UI 디자인 단계 - 개략적 컨셉에서 구체적인 설계까지 사용자와 함께 다양한 프로토타입을 평가하면서 디자인을 완성해가는 단계 - 다양한 수준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사용자를 참여시켜 평가를 반복 (저수준/고수준 프로토타입 제작) - 저수준 프로토타입: 주로 페이퍼 프로토타이핑(paper prototyping) - 고수준 프로토타입: 디자인의 시제품, 애플리케이션의 베..
1. 사용자중심디자인(UCD, User Centered Design)의 개념 1) 디자인적 문제해결 과정 - 사용자 중심 디자인(UCD)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고하여 만들어 내는 인터페이스, 서비스, 제품 디자인의 철학적 접근 방법이자 디자인 사상 - UCD의 최종적 단계에서의 결과물인 디자인은 인간(사용자)의 편의와 가치의 실현에 초점 2) 사용자 중심 디자인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- UCD는 사용자가 ‘무엇을 할 수 있고’, ‘무엇을 원하고’, ‘무엇을 할 필요가 있는지’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(UI)의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 중심 디자인 가치를 현실화 2. 사용자중심디자인(UCD)의 중요성 1) 사용자의 이해가 최우선이 되는 디자인 방법론 - 개발과정에 사용자가 개입, 사용자 테스트가 중요시되는 디자..